💧 사람과 반려동물을 위한 위생 관리: 수인성 감염병 및 예방접종 가이드
✅ 감염 경로: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를 통한 전파
✅ 핵심 예방: 개인 및 반려동물 위생 관리, 주기적인 예방접종
✅ 중요 항목: 광견병, 종합백신, A형 간염, 독감 등 확인
✅ 감염 경로: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를 통한 전파
✅ 핵심 예방: 개인 및 반려동물 위생 관리, 주기적인 예방접종
✅ 중요 항목: 광견병, 종합백신, A형 간염, 독감 등 확인
수인성 감염병은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, 사람과 반려동물 모두의 위생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 또한 보호자와 반려동물이 함께 예방접종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1. 주요 수인성 감염병 종류
대표적인 수인성 감염병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장티푸스: 살모넬라균에 의해 발생하며 고열, 설사, 두통을 유발합니다.
- 콜레라: 비브리오 콜레라균 감염으로 인한 심한 수양성 설사와 탈수를 일으킵니다.
- 세균성이질: *이질균(Shigella)*에 의해 발열, 설사, 복통이 나타납니다.
- A형 간염: 오염된 음식이나 물로 감염되며 피로감과 황달이 동반됩니다.
-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: 육류나 야채를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, 복통과 혈변이 증상으로 나타납니다.
- 이 외에도 파라티푸스, 장염비브리오, 살모넬라증 등이 있습니다.



2. 반려동물 예방접종 필수 항목
🐶 강아지
- 종합백신(DHPPL): 홍역, 간염, 파보바이러스 장염 등 예방
- 켄넬코프: 전염성 기관지염 예방
- 코로나 장염 백신: 개 코로나 바이러스성 장염 예방
- 광견병 백신: 인수공통감염 예방
- 개 인플루엔자(독감) 백신: 감염성 호흡기 질환 예방
- → 접종은 생후 6~8주부터 시작해 주기적 추가 접종 필요.
🐱 고양이
- 종합백신(FVRCP): 범백혈구감소증, 칼리시, 허피스 등 예방
- 광견병 백신: 의무는 아니지만 감염 위험 지역에서는 권장
- FeLV 백신: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예방
- → 실내묘라도 기본 백신은 권장됨.
반응형
3. 보호자가 맞아야 할 예방접종
보호자의 건강도 반려동물 돌봄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, 성인 예방접종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.
- 인플루엔자(독감): 매년 1회.
- Tdap/Td: 파상풍·디프테리아·백일해 예방 (10년마다 보강).
- A형 간염, B형 간염: 항체 없을 시 각각 2회, 3회 접종.
- 폐렴구균, 대상포진: 50세 이상 또는 만성질환자 권장.
- MMR (홍역·유행성이하선염·풍진): 면역 없을 시 1~2회.



4. 반려동물의 독감 및 코로나 감염 가능성
- 독감: 반려견과 반려묘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으나, 사람 독감 바이러스와는 다른 유형입니다. (개 인플루엔자 H3N8, H3N2는 종간 감염이 드뭅니다.)
- 코로나19: 일부 지역에서 반려묘·반려견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으며, 대부분 사람에게서 동물로 전이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- 중요: 동물→사람 전파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지 않았습니다.
- 증상: 감염 시 기침, 콧물, 식욕부진 등의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며, 대부분 자연 회복됩니다.
수인성 감염병 및 예방접종 요약
| 구분 | 주요 내용 |
|---|---|
| 수인성 감염병 | 콜레라, 장티푸스, A형 간염, 세균성이질, 장출혈성 대장균 등 |
| 반려동물 백신 | DHPPL(종합), 광견병, 인플루엔자, 코로나 장염, FVRCP(고양이 종합) 등 |
| 보호자 백신 | 독감, 파상풍(Tdap/Td), A/B형 간염, 폐렴구균, MMR, 대상포진 등 |
| 감염 가능성 | 동물이 사람에게 코로나·독감을 옮기는 사례는 없음 (사람→동물 전파 사례 보고) |
사람과 반려동물의 건강은 함께 관리해야 합니다. 수인성 감염병 예방을 위한 철저한 위생 관리와 함께, 주기적인 예방접종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시기를 바랍니다.

반응형
